오늘 부활절을 앞두고 며칠 전 뉴스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목회자 스스로 한국 개신교의 반성할 점들을 인터뷰한 내용이었다. 홍정길 목사님이라는 분의 인터뷰였다. 한국 교회가 커지면서 목회자와 성도간의 교제가 줄어들고 영적인 인도자가 아니라 매니지먼트 관리자가 되어버렸다는 것이다. 여러 질문과 답변중에 나에게 꽂힌 문단이 있었는데...
교회 모임에 나갈 때 마다 느끼는 점이 있었다. 뭔가 모임이 기쁘고 즐거운 느낌이 없다는 것이었다. 나만 그런것일 수도 있겠지만, 하나님을 섬기고 기쁨으로 가득해야 할 성도들의 삶이라면 만났을 때 그런 교제가 있어야할텐데 목사님이나 이하 목회자와 함께 목장모임 같은것을 가질 때면 늘 자아비판 같은 시간이 되어버린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했다. 즐거운 영적 생활의 깨달음을 나누는 것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곤 했는데 실상은 각자 "아... 이번주도 세상에서 하나님을 잊고 살았던 저 자신의 이러이러한 면을 회개합니다... 기도도 하지 못하고 전도도 못하고..." 라고 운을 떼면서 서로 작아지는 분위기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남이 말했으니 나도 뭔가 말해야되는데 쭈뼛쭈뼛 하다가 시간만 채우고 어색하게 끝나는 모임의 반복...
기사상에서는 제자훈련이란 명목으로 네트워킹은 강해졌지만, 목회자의 모범적인 변화 없이 제자훈련이 그저 네트워킹이라는 목적만 남았다고 했다. 나는 기사에서 언급한 문제점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위에 말한것 처럼 제자훈련이든 목장 모임이든 영적인 기쁨이 없다는 것이 추가적인 문제가 아닐까 생각했다.
조금씩 매일 성경을 읽으면서 너무나 감사하고 평안하고, 없는 삶에서도 즐거움을 찾고 위로를 받았다. 교회 모임에서 그런것을 나눌 시간도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고, 그 안에서 모여 나눔을 가질 생각한 것 자체 만으로도 하나님은 기뻐하실거라고 생각한다.
평소에도 어떤 영적인 깨달음을 간직하고, 그것을 만났을 때 나눠야지 하고 생각하는 성도들의 모임이라면 가능하겠지만 일상에 치이는 일반 성도들은 그런 나눔의 '꺼리'자체가 부족할 수도 있게다 하는 생각도 해봤다. 그런 경우라면 목회자의 인도와 성도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리액션?이 더 다양하고 깊어야 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나는 신학을 공부한 사람도 아니고, 이 글에 무슨 결론을 지으려고 쓴것도 아니다. 단지 저 기사를 보고 평소에 내가 느꼈던 교회 모임에 대한 생각을 적어두고 싶었다. 모임에서 나누는 목사님의 질문이 바뀌든, 성도들의 분위기가 바뀌든 교회 모임이 가기 싫은 자아 비판의 시간이 아니라, 즐거운 영적 깨달음을 나누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창작과 일상 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다가 꾼 꿈도 일상의 새로움이 되는 요즘 (0) | 2018.05.15 |
---|---|
세계사를 이해하는 일 (0) | 2018.05.13 |
나도 모르게 살아온 '트렌디 라이프' (0) | 2018.02.27 |
무서운 면접 (0) | 2018.01.13 |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대답하지 않는 사람'과의 대화 (0) | 2017.12.26 |